Published at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:

춤을 추자, 세상이 환해질 때까지! 지속가능한 댄스클럽, 2nd March, 2015.

세상을 바꾸는 게임, 하프더스카이, 23rd March, 2015.

Published at the Crowd Research Institute:

남자의, 남자에 의한, 남자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, <모벰버>, 12th August, 2014.

우리 마을 온라인 게시판, <스티키보드(Stickyboard)>, 19th August, 2014.

크라우드펀딩을 통한 도시재생, 가능할까? 네덜란드 로틀담 육교 건설 사례, 26th August, 2014.

사람이 아닌 정책에 투표하자, <Vote for Policies>, 2nd September, 2014.

크라우드펀딩을 둘러싼 정부-시민의 역할과 균형, <스페이스하이브(Spacehive)>, 16th September, 2014.

즐거운 직장생활을 가능하게 한 크라우드펀딩, 23rd September, 2014.

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의 역할, 모금이 전부는 아니다 – 고테오(Goteo) 사례, 30th September, 2014.

백여명의 선배들로부터 받는 장학금 –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<허법(hubbub)> 사례, 7th October, 2014.

친환경 교육과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태양광발전설비 크라우드펀딩, 21st October, 2014.

크라우드펀딩과 독자는 저널리즘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?, 4th November, 2014.

크라우드펀딩, 지역 언론의 책임성과 지역연계를 강화하다, 18th November, 2014.

정치에 대해 묻고 답하는 인공지능 어플리케이션 <Ask Amy>, 2nd December, 2014.

예쁘지 않아도 괜찮아-환경, 고용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건조과일 <스낵트>, 16th December, 2014.

패션 산업이 직면한 고민, 크라우드펀딩으로 해결하다 – <비포 더 라벨>, 29th December, 2014.

축구팬이 직접 설립하고 운영하는 구단 – <유나이티드 오브 맨체스터> 그리고 크라우드펀딩, 13th January, 2015.

여성 창업자를 위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, <플럼 앨리 (Plum Alley)>, 28th January, 2015.

정부와 시민의 힘으로 만들어진 인공파도, <더 웨이브 브리스톨>, 10th Feburary, 2015.

소수의 목소리를 담는 크라우드펀딩의 역할, 25th Feburary, 2015.

시민이 수집하고 배포하는 환경정보 – <스마트 시티즌 키트>, 10th March, 2015.

개인의 주차공간이 모두의 주차공간으로, <저스트파크(JustPark)>, 7th April, 2015.

개인의 사소한 생활습관변화가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 – <두네이션(DoNation)>, 21st April, 2015.